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회학과 소개

대한민국 유일의 의회학 연구•교육•인력양성 허브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회학과는 공부하는 의원·보좌진, 연구하는 의회를 비전으로 하는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의회학 교육·연구 대학원 과정입니다. 의회의 기능과 위상이 강화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의회 발전을 선도할 전문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학문 분야로서의 의회학(Parliamentary Studies)”을 정립하기 위해 출범했습니다.

 

학과 비전

의회학과는 종합 학문으로서의 의회학을 중장기적으로 형성·발전시키고, 대한민국 의회 연구의 표준을 제시합니다. 대한민국 유일의 의회학 연구 및 인력양성 기관으로서, 학문성과 실천성을 겸비한 교육·연구를 통해 민주주의의 질적 도약에 기여합니다.

 

설립 취지와 미션

• 의회 전문인력 양성 :                                                                                                                               의원•보좌진•의회공무원•입법분석•정책기획 등 의정 전 분야에서 즉시활용 가능한 지식과 역량 배양

• 의정 역량의 체계적 제고 :                                                                                                                       입법•예산심사•감사•정책평가 의회윤리•미디어커뮤니케이션 의회정치 등 핵심 기능 중심의 교육•연구

• 의회학의 학문적 정립 :                                                                                                                           입법•예산심사•감사•정책평가 의회윤리•미디어커뮤니케이션 의회정치 등 핵심 기능 중심의 교육•연구

 

학과의 핵심 특성

1. 국내 유일성 :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의회학을 전면에 내건 연구•교육•인력양성 기관

2. 민주주의 기여 : 의회 기능의 전문화를 통해 민주적 거버넌스의 품질을 높이고, 책임성과 대표성을 강화

3. 학제간 융합교육 :  법학 • 정치학 • 행정학 • 사회학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 심리학 • 도시계회학                                             사회기반시스템공학 등 다학제 지식을 통합                                                 

4. 이론-실무 결합 : 의회 운영의 실제 문제를 학문적 방법론으로 분석•정리하여 연구 기반의 실무                                               역량을 구축

5. 체계적 지식 집대성 : 의회·국회·입법 관련 지식과 사례를 축적·정리하여 의회학 지식 생태계를 형성

 

 

교육•연구 영역(예시)

• 예산•감사 : 법률안•예산•결산•감사 및 평가의 절차와 기술

• 운영•윤리 : 의사진행, 교섭•합의, 윤리와 규범, 절차법

• 커뮤니케이션 : 대의•숙의, 공중소통, 미디어 전략

• 도시•지역 거버넌스 : 지방의회와 광역•기초 거버넌스, 도시정책 의제화

• 의회정치•정치제도 분석 : 의회정치 일반 및 정당 등 주요 정치제도 국내•외 비교분석 이외 다학제간                                                     연구분야의 개척

 

인재상과 진로

• 인재상 : 공공성•전문성•윤리를 겸비한 차세대 의정 전문가

• 진로(예시) : 국회•지방의회(의회•보좌진•사무처), 정부•공공기관(입법•정책분석), 정책연구기관, 시민등

 

제목1

학과장 인사말

대표 사진

 

한 나라의 품격(品格)이나 역량(力量)은 결코 의원의 자질(資質)과 품격(品格)을 넘지 못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국회 또는 의회 구성원들의 역량은 국가의 역량을 가늠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중앙대 의회학과는 “공부(工夫)하는 의원(議員)·보좌진(補佐陳), 연구(硏究)하는 의회(議會)”를 만들기 위하여 설립되었습니다. 왜냐하면 입법(立法)은 법조문을 만드는 단순 작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국가를 이해하고 세계적 흐름까지 이해하여야 하는 그야말로 종합(綜合) 학문(學問)이며 종합(綜合) 예술(藝術)이기 때문입니다. 입법은 그냥 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정말 ‘잘’ 하여야 합니다. 잘못된 입법은 개인에게는 호환·마마보다 무서운 것이며, 국가나 사회에는 전쟁으로 인한 파괴보다 더 큰 화(禍)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입법 및 입법 지원 활동은 해당 분야의 업무 전문성만으로 충분하지 않습니다. 물론 모든 의원이 모든 분야의 전문 지식을 모두 알고 있는 것도 가능한 것은 아니나, 의원들은 각종 전문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 이상으로 입법 관련 당사자들과 소통(疏通)하고 그들의 말을 듣는 대화·협상 역량, 분쟁과 갈등의 본질을 이해하는 분쟁해결역량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왜냐하면 법의 규율 대상이 되는 당사자들의 애로나 정확한 상황을 이해하지도 못하고 의원들의 생각만으로 입법을 하는 경우 그 법은 무익한 것을 넘어 유해한 것이 될 수 있습니다.

중앙대 의회학과는 "의회학(議會學)"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하며, 민주주의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최고의 의정(議政) 전문가(專門家) 양성(養成)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법학, 정치학, 사회학, 행정학, 심리학, 경영학, 경제학, 지도자학, 협상학, 분쟁해결학, 이학, 공학,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여 의회 및 민주주의에 대한 보다 정교한 이해와 현장에 필요한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중앙대 의회학과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종합 학문으로서의 “의회학”을 형성해 나가고 발전시키는 ‘초석(礎石)’을 놓겠습니다. 중앙대 의회학과에서는 의회(議會), 국회(國會), 입법(立法)과 관련된 논의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강의 교재 및 의회학 총서(叢書)를 발간하는 일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중앙대 의회학과의 노력이 의원(議員), 보좌관(補佐官), 지원관(支援官) 및 입법전문가(立法專門家)의 자질과 품격을 높이고, 더 나아가 우리 사회 전체의 역량과 품격을 높일 수 있도록, 의회학과 구성원 모두가 한 마음 한 뜻으로 정성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 3. 의회학과 학과장 함영주 드림. Image